본문 바로가기

언어의 세계

[초등 저학년편] 욕설, 줄임말… 아이가 배워오는 말은 누구의 책임일까?

욕설, 줄임말… 아이가 배워오는 말은 누구의 책임일까?
위 이미지는 본 게시물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된 AI 이미지입니다.

언어의 세계+ [초등 저학년 8~10세] - 우리아이의 말


1.초등학교 이후, 말의 주인이 바뀐다

아이들이 사용하는 말은 유치원 때까지만 해도 주로 부모나 교사의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초등학교에 입학한 이후부터는 언어 습득 경로가 급격히 또래 중심으로 이동한다. 말투, 억양, 심지어 어휘의 선택까지도 친구들과의 관계 안에서 조정되기 시작한다. “○○놈”, “죽을래?” 같은 표현을 쓰는 아이를 보면 깜짝 놀라게 되지만, 정작 아이에게 물어보면 **‘다들 그렇게 말해서’**일 뿐이다. 이는 단순 모방이 아니라 관계 안에서 살아남기 위한 언어 전략이다. 집에서는 쓰지 않던 표현을 쓰는 이유는, 그 말이 또래 세계에서는 ‘강해 보이고, 통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아이는 점점 “집에서의 나”와 “학교에서의 나” 사이의 언어 코드를 구분하며 성장해간다.

2. 줄임말과 욕설, 단순한 유행일까?

요즘 아이들의 말에는 줄임말과 욕설이 자연스럽게 섞여 있다. “ㅈㄴ 웃겨”, “개빡쳐”, “그건 ㄹㅇ” 등은 단순히 유행어가 아니라, 의사 표현의 리듬과 감정을 압축해 전달하는 방식이다. 줄임말은 빠르게 의미를 전달하고, 욕설은 강한 감정이나 반응을 드러내는 데 쓰인다. 문제는 이들이 일상 대화 속에서 무분별하게 반복될 경우, 감정 표현의 범위가 제한되며 말의 거칠기가 강화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 말들은 대부분 유튜브, 게임 채팅, 쇼츠 영상 등 미디어를 통해 확산된다. 즉, 아이가 그런 말을 어디서 들었는지 묻는다면, 그 책임은 부모도, 교사도, 콘텐츠 환경 전체로 확장돼야 한다. 아이의 말은 사회 전체의 언어 민감도를 반영한다.

3. 말은 배우는 것이 아니라, 흡수하는 것이다

아이의 언어 습득은 단순히 배우는 것이 아니라, 환경 속에서 ‘흡수되는’ 과정에 가깝다. 우리가 가르치려 하지 않아도 아이는 주변의 말, 행동, 말투를 듣고 따라하며 익힌다. 그래서 중요한 건 "무슨 말을 가르쳤느냐"보다, **"어떤 말을 듣게 했느냐"**이다. 특히 감정 표현을 배울 시기에 욕설과 과도한 줄임말에 노출된다면, 아이는 풍부한 감정보다 단순하고 과격한 방식의 반응만 배우게 된다. 즉, 언어는 정보 전달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감정 조절 능력과 공감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말을 곱게 쓰게 하려면, 먼저 주변 환경에서 더 다양한 표현과 감정을 담은 말을 들려줘야 한다.

4.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결론적으로, 아이의 말은 혼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또래, 미디어, 가정, 교육 환경 모두가 영향을 미친다. 즉, ‘누구 책임인가’를 따지기보다는, ‘어디서부터 함께 바꿔야 할까’를 묻는 것이 먼저다. 가정에서는 표현력을 넓혀주는 책 읽기나 대화 습관을, 학교에서는 감정 언어 교육을, 콘텐츠 산업에서는 아동 대상 콘텐츠의 언어 질 향상을 고민해야 한다. 아이가 욕설을 쓴다고 해서 ‘말을 버릇없이 배웠다’고만 생각하지 말고, 왜 그 말을 선택하게 되었는지를 들여다보는 어른의 시선이 필요하다. 우리가 만든 환경 속에서 아이는 말하고 있다.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