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8)
[초등 고학년편] 대화가 끊겼다면? 언어의 세계+ [초등 고학년 11~13세] - 사춘기 아이와 소통을 이어주는 언어1. 사춘기의 침묵, 단절이 아니라 변화의 신호“학교 어땠어?”라는 질문에 “몰라요.”“밥 먹자.” 하면 “나중에요.”갑작스러운 말수 감소와 단답형 대답은 많은 부모들이 사춘기 아이에게서 처음 마주하는 변화다.이 시기의 아이들은 단순히 말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통해 자율성을 선언하고 있는 것이다.즉, 대화가 끊긴 것처럼 보이지만, 아이는 스스로의 감정과 생각을 정리하려고 말을 줄이는 것이다.중요한 건, 이 침묵을 거부나 무시로 받아들이지 않는 어른의 태도다.사춘기의 언어적 거리두기는 대화의 부재가 아닌, 새로운 대화 방식을 모색하는 신호일 수 있다.2. 아이가 듣고 싶은 건 ‘질문’이 아니라 ‘존중’부모의 대화 시도..
[초등 고학년편] 우리 아이 말이 너무 짧아요 언어의 세계+ [초등 고학년 11~13세] - Z세대 언어의 특징과 해석법1. 대답이 너무 짧은 아이들, 소통을 회피하는 걸까?요즘 부모들 사이에서 종종 나오는 고민이 있다."요즘 애들은 왜 말을 그렇게 짧게 해요?", "물어봐도 'ㅇㅇ', 'ㄱㅅ', 'ㄴㄴ'만 하고 끝나요."실제로 초등 고학년부터 중고등학생까지, 말은 물론이고 메시지나 댓글에서도짧은 표현, 축약어, 이모지로 모든 감정을 대체하는 경향이 강하다.예를 들어, “ㅇㅋ”, “ㄱㅅ”, “ㅇㅈ”, “ㅋㅋ”만으로 대화가 끝나기도 한다.부모 입장에서는 “대충 말하고, 성의 없어 보여서” 속상할 수 있지만,아이들 입장에서는 이것이 ‘감정의 최소한 표현 방식’이자, 또래 간의 기본 코드다.즉, 짧은 말은 무례하거나 성의가 없는 게 아니라, Z세대가 ‘빠..
[초등 저학년편] 아이 말이 너무 빨라요 언어의 세계+ [초등 저학년 8~10세] - 발화 속도와 언어 불안의 관계1. 단순히 말이 빠른 걸까?초등 저학년 부모들이 자주 겪는 고민 중 하나는 “우리 아이, 말이 너무 빨라요”다.처음에는 “조리 있게 말 잘하네”라고 느끼지만, 점점 속도가 빨라지고,단어가 뭉개지거나 문장이 중간에 끊기는 일이 반복되면 걱정이 커진다.이런 경우 단순한 말버릇이 아니라, 언어 불안 또는 인지적 과부하의 신호일 수 있다.말이 빠른 아이 중에는 생각보다 먼저 말이 나오는 경우도 있고,오히려 자신의 말이 끊기거나 끼어들기를 당할까봐 서두르는 아이도 많다.즉, 말의 속도는 표현 능력의 척도가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다.2. 발화 속도는 왜 조절되지 않을까?아이들이 말을 빠르게 쏟아내는 데는 다양한 원..
[초등 저학년편] 우리 아이, 친구들 말투만 따라 해요 언어의 세계+ [초등 저학년 8~10세] - 내 아이의 자아말투1. 친구 말투, 왜 그렇게 따라 하게 될까?초등 저학년이 되면 부모는 아이의 말투에서 놀라운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집에서는 쓰지 않던 말, 어딘가 낯선 억양, 간혹 거칠기까지 한 표현들이 아이의 입에서 튀어나온다."나도 몰라!", "아 진짜 짜증나!" 같은 말은 단순히 드라마나 유튜브에서 배운 것일 수도 있지만,실제로는 대부분 학교 내 또래 친구들과의 대화 과정에서 형성된 말투다.이 시기 아이들은 자기 표현을 넓혀가는 동시에, 사회 속에서 나를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관심이 많아진다.즉, 친구의 말투를 따라 하는 것은 단순한 장난이 아니라 사회적 적응 전략의 일환이다.같은 표현을 사용하면서 친밀감을 만들고, 또래 집단 안에서 나의 위치를 탐..
[초등 저학년편] 욕설, 줄임말… 아이가 배워오는 말은 누구의 책임일까? 언어의 세계+ [초등 저학년 8~10세] - 우리아이의 말1.초등학교 이후, 말의 주인이 바뀐다아이들이 사용하는 말은 유치원 때까지만 해도 주로 부모나 교사의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초등학교에 입학한 이후부터는 언어 습득 경로가 급격히 또래 중심으로 이동한다. 말투, 억양, 심지어 어휘의 선택까지도 친구들과의 관계 안에서 조정되기 시작한다. “○○놈”, “죽을래?” 같은 표현을 쓰는 아이를 보면 깜짝 놀라게 되지만, 정작 아이에게 물어보면 **‘다들 그렇게 말해서’**일 뿐이다. 이는 단순 모방이 아니라 관계 안에서 살아남기 위한 언어 전략이다. 집에서는 쓰지 않던 표현을 쓰는 이유는, 그 말이 또래 세계에서는 ‘강해 보이고, 통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아이는 점점 “집에서의 나”와 “학교에서의 나” 사..
[초등 저학년편] 초등학교 입학 후 말투가 거칠어졌다면? 또래 언어 영향력 분석 언어의 세계+ [초등 저학년 8~10세] - 아이들의 말투 변화“얘가 왜 이렇게 말이 세졌지?”초등학교 입학 이후, 아이의 말투가 달라졌다는 부모들의 고민이 많다.순하고 다정하던 말투가 짧고 거칠어지고,때론 애니메이션이나 유튜브에서 본 말투까지 따라하기 시작한다.그 변화의 배경엔 무엇이 있을까?핵심은 **“또래 언어의 영향력”**이다. 1. 갑자기 말투가 달라졌어요초등학교에 입학한 후, 아이의 말투가 눈에 띄게 거칠어졌다고 느끼는 부모들이 많다. “그건 왜 물어?”, “나도 몰라, 됐거든?” 같은 말투는 단지 어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언어 환경의 변화를 반영한다. 아이들은 집 안에서의 언어보다 또래 집단의 말투에 더 빠르게, 더 깊게 영향을 받는 시기에 들어선다. 특히 초등학교 1~2학년은 ‘사회적 ..
[유아.아동기편] 3세 아이 말투가 달라졌어요: 발음과 문법 습득 과정 분석 언어의 세계+ [유아.아동기편 3~7세] - 아이들의 발음과 문법1. 3세, 말투가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3세 아이가 갑자기 어른스러운 말투를 쓰거나, 반대로 아기처럼 말끝을 흐리는 경우, 부모는 당황하곤 한다. 이는 ‘퇴행’이 아니라 언어 발달의 자연스러운 전환기다. 만 3세 전후는 문장 구조를 인지하고 조합하는 능력, 즉 문법 습득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다. 이 시기에 아이들은 단어 단위의 발화를 넘어서 “엄마 밥 줘”, “나 먼저 할래”처럼 2~4어절 문장을 만들기 시작한다. 하지만 어휘가 늘고 문장이 길어지면서 말실수나 발음 오류도 증가한다. 예: “아빠, 내꺼 해줘” → “아빠, 내꺼 저줘”, “먹을래” → “머글레”. 이런 말투 변화는 언어 능력의 확장과 조율 중에 생기는 과도기적 흔들..
[유아.아동기편] 아이의 말 속에 숨은 심리: 언어 표현으로 보는 감정 읽기 언어의 세계+ [유아.아동기편 3~7세] - 우리 아이의 말에 숨은 뜻"엄마, 나 그냥 안 해도 돼?"말은 평범했지만, 어딘가 이상했다.목소리는 작았고, 눈을 마주치지 않았다.아이의 말은 단순한 의사 표현이 아니었다.그 말 안에 실망, 두려움, 혹은 무언가를 포기한 감정이 숨어 있었다.1. 말투에 숨어 있는 감정의 단서들아이의 말은 단순한 의사 표현을 넘어, 그 내면을 엿볼 수 있는 심리적 창이다. “싫어!”, “하지 마!”, “내가 할 거야!” 같은 짧고 강한 표현 뒤에는 종종 불안, 좌절, 자기 주장 같은 복합적인 감정이 숨겨져 있다. 언어는 감정을 직접 표현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감정을 우회적으로 드러내는 도구가 된다. 예컨대 “엄마 바빠?”라는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함께 있어달라는 요청일..

개인정보처리방침